현대적인 심리관점에서 심리학적 이상 현상과 인식에 대한 정신건강과 현대적 도전으로 분류되는 이상한 편견, STRANGE 편견과 비과적 학인 정신 건강 교육에 대하여 알아보자.
현대 심리학의 도전과 이슈
이상한 편견(WEIRD Bias)
이상한 편견 (WEIRD Bias)는 사회과학 및 심리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이상한 편견에 대한 인식은 연구자들에게 지역 및 문화 간의 다양성을 고려하고 결과보다는 넓은 범위로 일반화하기 위해 다양한 표본을 사용하도록 유도되고 있다.
2008년, 아넷(Arnett)은 미국 시민이 세계 인구의 5%에 불과한데도 미국 심리학 저널의 대부분의 기사가 미국 인구에 관한 것이었음을 지적했다. 그는 심리학자에게는 심리 과정을 보편적인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 결과를 전 전 세계 인구에 일반화할 근거가 없다고 불평하였다. 2010년 조지프 헨리치(Joseph Henrich), 시티브 제이 하인(Steven J.Heine), 아란 노렌야안( Ara Norenzayan)은 『WERIRD』 ("서양, 교육, 산업화, 부유, 민주적인") 사회로부터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심리학 연구의 편향을 보고했다. 헨리치(Henrich)는 심리학적 샘플의 96%는 세계 인구의 12%밖에 안 되는 나라에서 나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기사는 뮬러 라이어 환상(Muller-Luer illusion)을 포함한 다른 문화와 부족 문화에서 온 사람들 사이에서 현저하게 다른 결과의 예를 제공했다. Arnett(2008), Altmaier and Hall(2008), Morgan-consoli et al.(2018)은 심리학자들이 전 세계 인구의 연구, 임상 작업 및 상담에 WEIRD 지역에서 개발된 심리학적 원리를 점점 더 적용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연구와 이론에 대한 서양의 편견이 심각한 문제라고 보고 있다. 2018년 Rad, Martingano, Ginges는 Henrich 등의 논문으로부터 약 10년 후 심리과학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서 사용된 샘플의 80% 이상의 이상한 샘플을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게다가 그들의 분석은 몇몇 연구가 샘플의 기원을 완전히 밝히지 않았음을 보여주었으며 저자는 편집자와 리뷰 담당자에게 WEIRE 편향을 줄이기 위하여 일련의 권장 사항을 제공하기도 했다.
STRANGE 편견
STRANGE 편견은 최근까지 심리학에서 특정 의미나 개념으로 구체화 되지 않았으나 이상한(WEIRD) 편향과 유사하게 2020년부터 비인간적 행동의 연구자들은 연구 결론에서 STRANGE 편견(사회적 배경, 트래퍼빌리티(Trappability)와 자기 선택, 사육 이력, 순응과 습관화의 자연스러운 변화, 유전자 구성 및 경험)의 가능성을 문서화할 가능성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트래퍼빌리티(Trappablity)'는 일반적으로 특정 상황 및 조건에서 어떤 것이 덫에 걸릴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며 문맥 및 분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비과학적인 정신 건강 교육
비과학적 정신건강 교육 (Non-scientific Mental Health Education)은 과학적이거나 과학적 증거를 기반으로 하지 않은 정신 건강에 대한 교육이나 정보를 나타낸다. 과학적인 정신 건강 교육은 효과적인 치료 방법과 지원을 기초로 하여 믿을 수 있는 과학적 연구 및 증거를 활용하여 건강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키는데 중점 둔다. 그러나 비과학적인 정신 건강 교육은 가끔 과학적 증거나 기준 없이 개인적 견해나 믿음, 대중적인 관행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다.
일부 관찰자는 과학 이론과 그 응용 사이의 차이, 특히 지원되지 않거나 건전하지 않은 임상 실천에서 차이가 있다고 인식한다. 비평가들은 과학적 능력을 심어주지 않는 정신 건강 훈련 프로그램의 수가 증가했다고 말한다. '유아 자폐증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과 같은 관행: 신체 작업을 포함한 기억력 회복 기술, 그리고 그 인기에도 불구하고 재출산이자 재양육 등 다른 치료법을 의심스럽거나 위험하기까지 하다. 이러한 실천은 임상심리학박사 과정에서 가르치는 주류 실천에서 벗어나 있다.
과학적 관점에서 정신 건강 교육은 효과적인 심리적 치료 방법, 정신 건강 유지를 위한 건강한 습관, 정신 건강 문제의 조기 감지 및 대처 전략을 다루는데 심리학 및 정신건강 분야에서 이런 정보를 전파하고 교육하는데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생애와 핵심 이론 (0) | 2024.01.15 |
---|---|
심리학 실험의 윤리학 (0) | 2024.01.14 |
현대적 심리학의 도전과 이슈 ①형이상학 (0) | 2024.01.12 |
심리학 연구 방법 ② 뇌관찰/조작, 컴퓨터 시물레이션, 동물연구, 정성적 연구, 프로그램 평가 (1) | 2024.01.11 |
심리학 연구방법 ① 통제된 실험, 다른 유형의 연구 (1) | 2024.01.10 |